안녕하세요
ModoEdu 석훈멘토입니다
산업기사나 기사시험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학점은행제를 알아보시는 분들이 정말 많은데
그 중에서
이미 응시자격을 갖춘 상태라
수업을 들을 필요가 없는 상태인데도
듣고 있으신 분들도 있고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는데
그 방법을 몰라서 조금은 답답하게
준비하시는 분들이 있으셔서
제가 오늘은 학점은행제로 자격증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학점을 취득할 때
꼭 알아야 하는 내용과 꿀팁들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응시자격부터보면
산업기사는 41학점, 기사는 106학점을 필요하고
기사 시험에는 의무 18학점이 존재합니다
이건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고 다들 알고계실거에요
그럼 여기서 첫번째
학점은행제 보유학점으로 응시자격을 갖추려면
어떤 수업을 들어야 할까요??
정답부터 바로 말씀드리자면 자격증과 관련된 전공수업? 들을필요 없습니다
그냥 아무 수업이나 들으세요
그 이유는 나중에 학점을 다 채우고 산업인력공단에 서류를 제출할 때
여기에는 어떤 전공의 어떤 수업을 들었다는 학습구분이 나오는게 아니고
학생이 학습자등록한 전공과 몇학점이 등록되어 있는지만 나오기 때문인데요
이게 무슨 소리냐면
내 최종학력이 고졸이고 건축산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학점은행제 수업을 들으려 했을 때
이때
건축이랑 관련된 수업을 들어서 학점을 채워야 되는게 아니라
심리학이든, 경영학이든, 교양이든 자기가 듣고싶은 과목을 들어서
41학점만 취득하면 된다는거고 이건 기사시험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그렇게 하고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학습자등록을 할때만
건축과 관련된 전공으로 등록하시면 되는겁니다
그럼 제가 여기서 처음에
이미 응시자격이 갖춰져 있는 사람들이 있다
라고 말씀드렸는데
그게 바로 전문대를 졸업하신 분께서
관련 전공이 아닌 산업기사를 보려할 때
자꾸 41학점을 수업으로 채울려고 하시는데
전문대를 졸업하면 100% 보유학점이 41학점이 넘습니다
그니깐 그냥 학습자등록만 하시면 원하는 산업기사 시험 볼 수 있으니
수업 듣고있으실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대학을 자퇴하신분이 산업기사를 보려할 때
보유학점이 41학점이 넘는다면 이런 분들도 수업들으실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두번째
4년제 대학 졸업자는 전적대 학점을 살릴 수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대학의 복수전공과 비슷한 타전공이라는 제도가 있어서
관련전공 학점으로
36학점으로 전문학사, 48학점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해서
전문학사는 산업기사, 학사학위는 기사시험
자격증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으니깐
굳이 41학점, 106학점을 갖추고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세번째
학점을 취득하는 방법은 온라인 수업만 있는게 아니라
자격증이나 독학사라는 제도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그니까 내가 자격증을 조금 빠르게 준비하고 싶다면
굳이 온라인 수업으로만 학점을 취득하는게 아니라
자격증이랑 독학사를 병행해서 준비를 한다면
충분히 더 빠르게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으니까
목표하는 회차에 맞춰서 플랜을 설정하시는게 좋습니다
자 마지막입니다
학점은행제 온라인 수업은
모든 과목이 똑같이 3학점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어차피 41학점, 106학점을 갖출 때
이수과목이나 학습구분이 나오는게 아니니까
최대한 쉽게 끝낼 수 있는 과목들로 선정하는게 하나의 팁이고
응시자격을 갖추는 기간동안
내가 취득하려는 산업기사,기사의 필기시험까지 병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쉬운 과목이나 내가 잘할 수 있는 과목으로
선정하는게 유리하니까 이부분도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 오늘은 학점은행제의 보유학점으로
국가기술자격증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하시는 분들에게
여러번 들어왔던 질문들을 토대로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학생 개개인마다 최종학력이 다 다르고 보유학점도 다 다르니까
아마 이 글만으로 모든분들의 궁금증을 해결하진 못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글을 보시면서 개인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거나
학습설계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보이시는 카톡ID로 개별적으로 문의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모두들 화이팅입니다!
석훈멘토
Talk : tjrgns009
안녕하세요
ModoEdu 석훈멘토입니다
산업기사나 기사시험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학점은행제를 알아보시는 분들이 정말 많은데
그 중에서
이미 응시자격을 갖춘 상태라
수업을 들을 필요가 없는 상태인데도
듣고 있으신 분들도 있고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는데
그 방법을 몰라서 조금은 답답하게
준비하시는 분들이 있으셔서
제가 오늘은 학점은행제로 자격증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학점을 취득할 때
꼭 알아야 하는 내용과 꿀팁들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응시자격부터보면
산업기사는 41학점, 기사는 106학점을 필요하고
기사 시험에는 의무 18학점이 존재합니다
이건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고 다들 알고계실거에요
그럼 여기서 첫번째
학점은행제 보유학점으로 응시자격을 갖추려면
어떤 수업을 들어야 할까요??
정답부터 바로 말씀드리자면 자격증과 관련된 전공수업? 들을필요 없습니다
그냥 아무 수업이나 들으세요
그 이유는 나중에 학점을 다 채우고 산업인력공단에 서류를 제출할 때
여기에는 어떤 전공의 어떤 수업을 들었다는 학습구분이 나오는게 아니고
학생이 학습자등록한 전공과 몇학점이 등록되어 있는지만 나오기 때문인데요
이게 무슨 소리냐면
내 최종학력이 고졸이고 건축산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학점은행제 수업을 들으려 했을 때
이때
건축이랑 관련된 수업을 들어서 학점을 채워야 되는게 아니라
심리학이든, 경영학이든, 교양이든 자기가 듣고싶은 과목을 들어서
41학점만 취득하면 된다는거고 이건 기사시험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그렇게 하고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학습자등록을 할때만
건축과 관련된 전공으로 등록하시면 되는겁니다
그럼 제가 여기서 처음에
이미 응시자격이 갖춰져 있는 사람들이 있다
라고 말씀드렸는데
그게 바로 전문대를 졸업하신 분께서
관련 전공이 아닌 산업기사를 보려할 때
자꾸 41학점을 수업으로 채울려고 하시는데
전문대를 졸업하면 100% 보유학점이 41학점이 넘습니다
그니깐 그냥 학습자등록만 하시면 원하는 산업기사 시험 볼 수 있으니
수업 듣고있으실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대학을 자퇴하신분이 산업기사를 보려할 때
보유학점이 41학점이 넘는다면 이런 분들도 수업들으실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두번째
4년제 대학 졸업자는 전적대 학점을 살릴 수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대학의 복수전공과 비슷한 타전공이라는 제도가 있어서
관련전공 학점으로
36학점으로 전문학사, 48학점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해서
전문학사는 산업기사, 학사학위는 기사시험
자격증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으니깐
굳이 41학점, 106학점을 갖추고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세번째
학점을 취득하는 방법은 온라인 수업만 있는게 아니라
자격증이나 독학사라는 제도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그니까 내가 자격증을 조금 빠르게 준비하고 싶다면
굳이 온라인 수업으로만 학점을 취득하는게 아니라
자격증이랑 독학사를 병행해서 준비를 한다면
충분히 더 빠르게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으니까
목표하는 회차에 맞춰서 플랜을 설정하시는게 좋습니다
자 마지막입니다
학점은행제 온라인 수업은
모든 과목이 똑같이 3학점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어차피 41학점, 106학점을 갖출 때
이수과목이나 학습구분이 나오는게 아니니까
최대한 쉽게 끝낼 수 있는 과목들로 선정하는게 하나의 팁이고
응시자격을 갖추는 기간동안
내가 취득하려는 산업기사,기사의 필기시험까지 병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쉬운 과목이나 내가 잘할 수 있는 과목으로
선정하는게 유리하니까 이부분도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 오늘은 학점은행제의 보유학점으로
국가기술자격증 응시자격을 갖추려고 하시는 분들에게
여러번 들어왔던 질문들을 토대로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학생 개개인마다 최종학력이 다 다르고 보유학점도 다 다르니까
아마 이 글만으로 모든분들의 궁금증을 해결하진 못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글을 보시면서 개인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거나
학습설계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보이시는 카톡ID로 개별적으로 문의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모두들 화이팅입니다!
석훈멘토
Talk : tjrgns009